728x90
1. 아래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측하라.
def my_print (a, b) :
print("왼쪽:", a)
print("오른쪽:", b)
my_print(a=100, b=200)
정답확인 ->
우선 아래의 기본 코드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5번 라인에서 함수가 호출되면, 함수가 정의된 1번 라인으로 이동합니다. 이 때 함수의 입력 변수 a에 100을 바인딩하고, b에 200을 바인딩합니다.
my_print(100, 200)
아래 코드는 함수가 호출될 때 a에 100, b에 200을 바인딩하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표현한 코드입니다. 아래 코드는 문법만 다를 뿐 위 코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합니다.
my_print(a=100, b=200)
함수의 호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왼쪽: 100
오른쪽: 200
2. 아래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측하라.
def my_print (a, b) :
print("왼쪽:", a)
print("오른쪽:", b)
my_print(b=100, a=200)
정답확인 ->5 번 라인에서 함수를 호출하는데, a 변수에 200, b 변수에 100을 바인딩하라고 지정을 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왼쪽: 200
오른쪽: 100
728x90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함수 예제 3-5 (0) | 2022.04.11 |
---|---|
파이썬 함수 예제 3-4 (0) | 2022.04.10 |
파이썬 함수 3-2 (0) | 2022.04.09 |
파이썬 함수 예제3 (0) | 2022.04.08 |
파이썬 함수 2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