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log 3

리눅스 서버가 이상할 때, 로그 보는 곳

서버 운영을 하다 문제가 발생하면 제일 먼저 로그를 확인해보게 됩니다. 리눅스의 로그는 주로 /var/log 디렉토리에 저장 되게 됩니다. 각 파일 별로 어떤 로그가 저장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var/log/messages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먼저 찾아보는 로그 파일 입니다. syslog.conf 에서 로그를 남기지 않는 것으로 지정된 내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기록 됩니다. 내용이 무지 많기 때문에 보통 grep 명령어와 함께 사용하여 문제를 파악 합니다. 2. /var/log/secure 사용자 접속 정보가 기록되는 파일 입니다. ssh, 텔넷 등으로 시스템에 접속된 내용이 기록되며, 점속 일시, 사용자 명, 접속한 시스템의 IP 등이 기록되게 됩니다. 시스템 해킹이 의심..

Linux 2022.07.28

Docker 로그보는 방법(log)

docker는 기본적으로 STDOUT, STDERR는 전부 로그로 남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용량부족 사태를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이 로그를 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작성한다. $ docker logs --help Usage: docker logs [OPTIONS] CONTAINER Fetch the logs of a container Options: --details Show extra details provided to logs -f, --follow Follow log output --help Print usage --since string Show logs since timestamp --tail string Number of lines to show from the end of the log..

AWS 2022.03.09

JPA 로그에서 파라미터 값 보는 방법에 대한 연구

hibernate가 제공하는 방법 ← 현재 주다타운(moon-app-api)에서 로그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방법이 적합함 org.hibernate.type의 로그 레벨을 trace로 잡으면 됩니다. 그런데 먼저 로그라이브러리를 설정해야 해서 좀 일이 있습니다. pom.xml에 다음을 추가해줍니다. ch.qos.logback logback-classic 1.2.3 2. resources 아래에 logback.xml 파일을 만들어서 둡니다. 여기에 잘 보시면 org.hibernate.type이 trace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d{HH:mm} %-5level %logger{36} - %msg%n 3.그리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 insert hellojpa.Member *..

JPA 2022.02.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