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RestTemplate과 WebClient(feat. 서버 간 데이터 주고 받기)

쿠카이든 2022. 12. 2. 11:25
728x90
RestTemplate과 WebClient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RestTemplate과 WebClient가 있다. 스프링 5.0 이전까지는 클라이언트에서 HTTP 접근을 위해 사용한 것은 RestTemplate 이었다. 스프링 5.0 에서 WebClient가 나왔고 현재는 WebClient를 사용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이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stTemplate을 도입하였었다. 하지만 RestTemplate이 deprecated 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고 새로 시작하는 프로젝트에서는 WebClient를 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어 WebClient를 적용해보게 되었다. 그럼 RestTemplate과 WebClient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왜 WebClient를 사용하길 권고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RestTemplate

 

RestTemplate 이란?

스프링 3.0에서부터 지원하는 RestTemplate은 HTTP 통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템플릿이다. REST 서비스를 호출하도록 설계되어 HTTP 프로토콜의 메서드 (GET, POST, DELETE, PUT)에 맞게 여러 메서드를 제공한다. RestTemplate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RestTemplate 특징

  • 통신을 단순화하고 RESTful 원칙을 지킨다
  • 멀티쓰레드 방식을 사용
  • Blocking 방식을 사용

의존성 설정

기본 스프링 부트 의존성을 추가하면 RestTemplate 관련 의존성은 자동으로 추가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한다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RestTemplate 사용

RestTemplate을 생성할 때 어떤 HttpClient를 사용할 것인지 ClientHttpRequestFactory를 전달하여 지정할 수 있다. 기본 생성자의 경우 내부적으로 ClientHttpRequestFactory 의 구현체 SimpleClientHttpRequestFactory를 사용하여 초기화한다.

RestTemplate의 생성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stTemplateClient {

    @Bean
    public RestTemplate restTemplate(RestTemplateBuilder builder) {
        return builder.build();
    }
}

RestTemplate을 생성할때는 builder를 통하여 생성해 줄 수 있다. builder를 통해 생성하고 스프링 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

public class RestTemplateTestClass {
    @Autowired 
    RestTemplate restTemplate;

    public TestClass(RestTemplate restTemplate){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
    }

    public String getSthFromServer(){
        return restTemplate.getForObject("https://example.com",String.class);
    }
}

RestTemplat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estTemplate.메소드명() 을 사용하면 된다.

RestTemplate에서 사용가능한 메소드들

 

WebClient

WebClient 란?

WebCleint는 스프링 5.0에서 추가된 인터페이스다. 스프링 5.0 이전에는 비동기 클라이언트로 AsyncRestTemplate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스프링 5.0 이후부터는 WebClient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WebClient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싱글 스레드 방식을 사용
  • Non-Blocking 방식을 사용
  • JSON, XML을 쉽게 응답받는다.

의존성 설정

WebClien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stTemplate와 달리 의존성을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 webflux 의존성을 추가해줘야 한다. Gradle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주면 된다.

// webflux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flux'

WebClient 생성

WebClient를 생성하는 데는 2가지의 방법이 있다.

  • WebClient.create();
  • Builder를 활용한 클래스 생성
Webclient webClient = WebClient
	                    .builder()
	                    .baseUrl("http://localhost:8080")
	                    .defaultCookie("쿠키","쿠키값")
	                    .defaul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build();

Request요청하기

WebClient.RequestHeaderUriSpec<?> baseSpec = Webclient.builder()
																								.baseUrl("주소")
																								.build()
																								.get();

// baseSpec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추가로 붙여서 요청한다. 
baseSpec.uri(builder -> builder.path("/")
                               .queryParam("이름","값")
                               .builder()
                        )
                        .retrieve() // Response를 받아옴.

Response 받아오기

response를 받아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exchange() → ClientResponse를 상태값 그리고 헤더와 함께 가져온다
  • retrieve() → body를 바로 가져온다.
String response = req.exchange().block().bodyToMono(String.class).block();
String response2 = req2.retrieve().bodyToMono(String.class).block();

bodyToMono 는 가져온 body를 Reactor의 Mono 객체로 바꿔준다. Mono 객체는 0-1개의 결과를 처리하는 객체이다. Flux는 0-N개의 결과를 처리하는 객체이다.

block() 을 사용하면 RestTemplate 처럼 동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RestTempalte 과 WebClient의 차이

RestTemplate과 WebClient의 가장 큰 차이점은 Non-Blocking과 비동기화 가능 여부일 것이다. 결국 이러한 차이점이 스프링에서 RestTemplate을 사용하는 것 보다 WebClinet의 사용을 권장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스프링 4.0에서 RestTemplate의 비동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yncRestTemplate을 잠깐 사용하긴 했지만, 현재 deprecated 된 상태이다.

Non-Blocking?

시스템을 호출한 직후에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다시 돌아와서 시스템 호출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동작을 진행한다. 호출한 시스템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동시에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의 속도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성능비교

출처 : https://alwayspr.tistory.com/44

Boot1 은 RestTemplate을 사용하고 Boot2 는 WebClient 를 사용한다. 동시 사용자가 1,000명까지는 처리속도가 거의 비슷하지만 그 이후에서는 RestTemplate(Boot1) 이 급격하게 느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시 사용자의 규모가 별로 없다면 RestTemplate을 사용하는 것은 별문제 없지만 어느정도의 규모가 있다면 WebClient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정리

이전까지 RestTemplate을 사용했다면 굳이 WebClient로 변경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새롭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WebClient의 도입을 생각해봐야 한다. WebClient는 RestTemplate이 할 수 있는 동기호출을 할 수 있고 비동기 호출도 가능하다. 하지만 RestTemplate은 WebClient가 가능한 비동기 호출을 할 수 없다. RestTemplate을 사용한다면 응답이 올 때까지 계속 기다려야 할 것이다.

 

출처: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7-25-resttemplate-webclient/

 

RestTemplate과 WebClient

이 글은 자바에서 HTTP 요청을 써봤거나 써보려고 하는 독자를 대상을 작성하였습니다.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RestTemplate과 WebClient가 있다. 스프링 5.0 이전까

tecoble.techcourse.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