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Template과 WebClient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RestTemplate과 WebClient가 있다. 스프링 5.0 이전까지는 클라이언트에서 HTTP 접근을 위해 사용한 것은 RestTemplate 이었다. 스프링 5.0 에서 WebClient가 나왔고 현재는 WebClient를 사용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이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stTemplate을 도입하였었다. 하지만 RestTemplate이 deprecated 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고 새로 시작하는 프로젝트에서는 WebClient를 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어 WebClient를 적용해보게 되었다. 그럼 RestTemplate과 WebClient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왜 WebClient를 사용하길 권고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RestTemplate
RestTemplate 이란?
스프링 3.0에서부터 지원하는 RestTemplate은 HTTP 통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템플릿이다. REST 서비스를 호출하도록 설계되어 HTTP 프로토콜의 메서드 (GET, POST, DELETE, PUT)에 맞게 여러 메서드를 제공한다. RestTemplate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RestTemplate 특징
- 통신을 단순화하고 RESTful 원칙을 지킨다
- 멀티쓰레드 방식을 사용
- Blocking 방식을 사용
의존성 설정
기본 스프링 부트 의존성을 추가하면 RestTemplate 관련 의존성은 자동으로 추가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한다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RestTemplate 사용
RestTemplate을 생성할 때 어떤 HttpClient를 사용할 것인지 ClientHttpRequestFactory를 전달하여 지정할 수 있다. 기본 생성자의 경우 내부적으로 ClientHttpRequestFactory 의 구현체 SimpleClientHttpRequestFactory를 사용하여 초기화한다.
RestTemplate의 생성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stTemplateClient {
@Bean
public RestTemplate restTemplate(RestTemplateBuilder builder) {
return builder.build();
}
}
RestTemplate을 생성할때는 builder를 통하여 생성해 줄 수 있다. builder를 통해 생성하고 스프링 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
public class RestTemplateTestClass {
@Autowired
RestTemplate restTemplate;
public TestClass(RestTemplate restTemplate){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
}
public String getSthFromServer(){
return restTemplate.getForObject("https://example.com",String.class);
}
}
RestTemplat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estTemplate.메소드명() 을 사용하면 된다.
WebClient
WebClient 란?
WebCleint는 스프링 5.0에서 추가된 인터페이스다. 스프링 5.0 이전에는 비동기 클라이언트로 AsyncRestTemplate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스프링 5.0 이후부터는 WebClient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WebClient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싱글 스레드 방식을 사용
- Non-Blocking 방식을 사용
- JSON, XML을 쉽게 응답받는다.
의존성 설정
WebClien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stTemplate와 달리 의존성을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 webflux 의존성을 추가해줘야 한다. Gradle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주면 된다.
// webflux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flux'
WebClient 생성
WebClient를 생성하는 데는 2가지의 방법이 있다.
- WebClient.create();
- Builder를 활용한 클래스 생성
Webclient webClient = WebClient
.builder()
.baseUrl("http://localhost:8080")
.defaultCookie("쿠키","쿠키값")
.defaul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build();
Request요청하기
WebClient.RequestHeaderUriSpec<?> baseSpec = Webclient.builder()
.baseUrl("주소")
.build()
.get();
// baseSpec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추가로 붙여서 요청한다.
baseSpec.uri(builder -> builder.path("/")
.queryParam("이름","값")
.builder()
)
.retrieve() // Response를 받아옴.
Response 받아오기
response를 받아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exchange() → ClientResponse를 상태값 그리고 헤더와 함께 가져온다
- retrieve() → body를 바로 가져온다.
String response = req.exchange().block().bodyToMono(String.class).block();
String response2 = req2.retrieve().bodyToMono(String.class).block();
bodyToMono 는 가져온 body를 Reactor의 Mono 객체로 바꿔준다. Mono 객체는 0-1개의 결과를 처리하는 객체이다. Flux는 0-N개의 결과를 처리하는 객체이다.
block() 을 사용하면 RestTemplate 처럼 동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RestTempalte 과 WebClient의 차이
RestTemplate과 WebClient의 가장 큰 차이점은 Non-Blocking과 비동기화 가능 여부일 것이다. 결국 이러한 차이점이 스프링에서 RestTemplate을 사용하는 것 보다 WebClinet의 사용을 권장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스프링 4.0에서 RestTemplate의 비동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yncRestTemplate을 잠깐 사용하긴 했지만, 현재 deprecated 된 상태이다.
Non-Blocking?
시스템을 호출한 직후에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다시 돌아와서 시스템 호출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동작을 진행한다. 호출한 시스템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동시에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의 속도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성능비교
출처 : https://alwayspr.tistory.com/44
Boot1 은 RestTemplate을 사용하고 Boot2 는 WebClient 를 사용한다. 동시 사용자가 1,000명까지는 처리속도가 거의 비슷하지만 그 이후에서는 RestTemplate(Boot1) 이 급격하게 느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시 사용자의 규모가 별로 없다면 RestTemplate을 사용하는 것은 별문제 없지만 어느정도의 규모가 있다면 WebClient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정리
이전까지 RestTemplate을 사용했다면 굳이 WebClient로 변경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새롭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WebClient의 도입을 생각해봐야 한다. WebClient는 RestTemplate이 할 수 있는 동기호출을 할 수 있고 비동기 호출도 가능하다. 하지만 RestTemplate은 WebClient가 가능한 비동기 호출을 할 수 없다. RestTemplate을 사용한다면 응답이 올 때까지 계속 기다려야 할 것이다.
출처: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7-25-resttemplate-webclient/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 Mybatis 연동하기 (0) | 2023.01.12 |
---|---|
SpringBoot + JPA 멀티 연동하기 (0) | 2023.01.12 |
(Springboot 관련) mongoDB 초기 설정 (0) | 2022.10.01 |
AOP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2.09.13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p.62 실행 오류 해결법 (0) | 2022.05.16 |